[자바스크립트_개념정리] 연산자
JS 연산자
자바스크립트에서의 연산자 종류
산술 연산자
” + − * / ** % ++ −− “
+ | 더하기 |
---|---|
− | 빼 |
* | 곱하기 |
/ | 나누기 |
** | 거듭제곱 |
% | 나머지를 구할 때 *주로 짝/홀을 판단할 때 사용 |
전치 연산자 | 후치 연산자 |
---|---|
++i, −−i | i++, i−− |
’ = ‘ 보다 우선순위가 높음 1. 변수의 값을 1씩 증가/감소 2. 증가/감소한 값 반환 |
’ = ‘ 보다 우선순위가 낮음 1. 변수의 현재 값 반환 2. 변수 값 1씩 증가/감소 |
![]() |
![]() |
대입 연산자
” = += −= *= /= “
” = “ : ‘같다’ 의미가 아니라 변수에 ‘저장’을 의미
” score += 5; “ 는 “ score = score + 5; “ 의 축약형
=> 변수의 값을 변경한다. (새로운 데이터 연결, 누적)
변수 score 의 값이 1에서 11로 변경됨
비교 연산자
비교 연산자는 결과 값을 Boolean(‘true’ / ‘false’) 값으로 반환
” > < >= <= == === != !== “
동등 연산자
이중 등호 ‘ == ‘ | 두 값을 비교할 수 있도록 값을 바꾸거나 같은 타입으로 전환시킴 같은 타입일 경우 평소처럼 비교, 다른 타입일 경우 예상목한 결과가 나온다 |
---|---|
![]() |
1. 숫자와 불리언의 서로 다른 타입 비교지만 true 2. 문자 ‘0’와 숫자 0의 비교지만 같은 타입으로 변환 |
삼중 등호 ‘ === ‘ | 타입을 구분하여 값을 비교, 같은 타입으로 변환시키지 않는다 *값이 서로 같은지 알려면 삼중 등호를 사용 |
---|---|
![]() |
이중 등호와 다르게 타입을 구분하여 비교 문자 ‘0’와 숫자 0의 비교에 false |
비동등 연산자
같지 않으면 true, 같으면 false
!= | 이중 등호처럼 타입을 구분하지 않음 |
---|---|
![]() |
타입 구분 없이 숫자 1과 문자 ‘1’이 같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false |
!== | 삼중 등호처럼 타입을 구분 |
---|---|
![]() |
숫자 1과 문자 ‘1’의 타입을 구분하기 때문데 true |
논리 연산자
&& (AND) | || (OR) | ! (NOT) |
---|---|---|
모두 true여야 true 둘 중 하나라도 false면 false *&&(AND)는 ||(OR)보다 우선순위임으로 먼저 실행됨 |
둘 중 하나가 false여도 true | true인 무언가를 없애거나 부정 거짓인 표현식 앞에 !를 쓰면 참이 나옴 |
![]() |
![]() |
![]() |